
안녕하세요! 에이플랫폼 Support Bulletin의 열세 번째 이야기입니다. 😊
여러분은 혹시 서비스가 갑자기 느려지거나 멈춰버리는 현상을 경험해 보신 적이 있나요?
원인 모를 시스템 장애 중 상당수는 '유휴 상태에 빠진 데이터베이스 연결' 때문인 경우가 많습니다.
트랜잭션이 시작된 후 락(Lock)을 획득한 세션이 아무 작업 없이 멈춰버리면서 뒤따라오는 모든 요청을 막아버리는 '병목 현상'을 일으키기 때문이죠.
이번 Bulletin에서는 multi_statement_xact_idle_timeout을 포함하여 다양한 상태의 연결을 자동으로 종료하는 기능들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유휴 상태에 빠진 데이터베이스 연결은 시스템 성능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 트랜잭션이 시작된 후 락(Lock)을 획득한 세션이 아무 작업 없이 대기하는 상황은 심각한 병목 현상을 유발하여 서비스 전체를 마비시킬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SingleStore는 불필요한 연결을 자동으로 종료하는 다양한 변수들을 제공합니다. 이 변수들을 활용하면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1. multi_statement_xact_idle_timeout
multi_statement_xact_idle_timeout은 트랜잭션이 락(Lock)을 보유한 채로 유휴 상태에 있는 시간을 제한합니다.
만약 설정된 시간이 초과되면 해당 트랜잭션을 자동으로 종료하고, 이로 인해 점유하고 있던 락(Lock)도 해제됩니다.
이 변수는 초 단위로 설정할 수 있으며, 기본값은 300초(5분)입니다. 세션 변수(SET) 또는 전역 변수(SET GLOBAL)로 설정할 수 있어, 특정 세션에만 적용하거나 데이터베이스 전체에 일괄적으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이 변수를 적절히 설정하면 불필요한 락 점유를 막아 병목 현상을 예방하고, 시스템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lock_wait_timeout
lock_wait_timeout은 트랜잭션이 락(row Lock)을 획득하기 위해 대기할 수 있는 최대 시간을 초 단위로 설정합니다. 이 변수의 기본값은 30초이며, SET 명령어를 사용해 세션 단위 또는 SET GLOBAL을 사용해 전역 단위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앞서 multi_statement_xact_idle_timeout이 유휴 트랜잭션 자체를 종료하는 변수라면, 이 변수는 다른 트랜잭션이 획득한 락 때문에 무기한 대기 상태에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만약 락을 얻기 위해 설정된 시간 이상을 기다려도 락을 획득하지 못하면 해당 트랜잭션은 자동으로 실패 처리됩니다.
이를 통해 시스템이 교착 상태(Deadlock)에 빠지는 것을 막고, 병목 현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3. disconnect_client_on_invalid_connection_state
disconnect_client_on_invalid_connection_state는 클라이언트와 데이터베이스 간의 연결 상태가 비정상적일 때 자동으로 연결을 끊는 기능을 합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문제가 생겨 연결은 유지되지만, 더 이상 정상적인 통신이 불가능할 경우, 이 변수를 통해 불필요하게 점유된 리소스를 즉시 해제할 수 있습니다.
이는 시스템 안정성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합니다.

오늘 살펴본 multi_statement_xact_idle_timeout과 같은 자동 연결 종료 변수들은 데이터베이스 관리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크게 향상할 수 있습니다. 불필요한 리소스 낭비를 막고, 유휴 세션으로 인한 병목 현상을 사전에 방지하는 것은 안정적인 서비스 운영에 필수적입니다.
이러한 변수들을 적절히 설정하고 관리하면, 갑작스러운 성능 저하 없이 고객에게 더 빠르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작은 설정 변경이 가져올 수 있는 큰 변화를 직접 경험해보세요.
'SingleStoreDB > Support Bullet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HikariCP, SingleStore 연동 테스트 - [Support Bulletin 14] (0) | 2025.08.21 |
---|---|
SingleStore에서 secure_file_priv 설정 방법 및 NULL값의 보안 위험 - [Support Bulletin 12] (4) | 2025.07.18 |
[Support Bulletin 11] - 10M row 테스트로 본 DENSE_RANK() 성능의 진짜 변수 (5) | 2025.07.11 |
[Support Bulletin 10] - SELECT문에 없는 LIMIT, 왜 생겼을까? (5) | 2025.07.03 |
[Support Bulletin 09] - Trailing Space 에 따른 SQL 결과 차이 (0) | 2025.05.30 |